 |
|

|
6월의 마지막 주 월요일, 과천행이 아닌 동인천행 전철을 탔다. 주안 수출 5공단에 위치한 서울엔지니어링으로의 출근. 새로운 곳에서 새로운 분들과의 일주일이 기대되는 한편, 앞으로의 낯선 일들에 대해 걱정되기도 했다.
(주)서울엔지니어링은 제철소의 고로, 전로 및 압연 설비에 들어가는 핵심 부품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국내 유일의 업체이다. 순동을 용해 후 주조하여 부품 소재를 생산하는 전형적인 3D 업종이지만, 세계적인 수준의 제품을 생산하여 현재 수출 비중이 65%를 넘는다. 처음 보고 듣는 부품과 공구들의 이름 때문에 오전의 회사소개 시간에는 이해가 잘 되지 않는 부분이 많았다. 그러나 오후의 현장 체험을 시작으로 우리는 서울엔지니어링과 좀 더 가까워질 수 있었다.
|

|
|
점심식사 후 안전교육을 받고, 각 작업 담당자분을 멘토로 하여 본격적인 작업이 시작됐다. 우리는 팀을 나누어 최종검사반과 주조반에 배치되었다. 특히 주조반의 이경훈 사무관은 생산공정에서 아주 중요한 중자 만들기 작업에 투입됐다. 처음 한 시간동안은 참기 힘들다는 생각이 앞섰다. 단순반복되는 일, 열악한 환경, 그리고 무더운 날 마스크까지 껴야하는 복장…. 하지만 ‘바로 옆에서 근무하시는 분들은 같은 조건에서 같은 일을 매일 몇 시간씩 쉬지 않고 하시는구나‘ 생각하니 그런 내색을 할 수 없었다. 한편 정현정, 김효선 사무관은 QA(최종검사반)에서 고로의 열을 식히기 위하여 삽입되는 냉각판의 최종 검사를 담당했다. 1mm의 오차가 거대한 고로를 멈추게 할 수 있고 이는 생산라인 가동을 모두 멈추게 할 위험이 있기 때문에, 마지막 검사는 엄숙하리만큼 꼼꼼히 이루어졌다. 어렵지 않은 작업이지만 반나절 내내 서서 기록해야 했기 때문에 앉아서 수업만 듣던 우리들은 쉽게 적응하기 힘들었다.
|

|
 |
다음날 정현정,김효선 사무관은 오전, 오후 내내 전날 배운 작업을 했고, 첫날과 달리 어느 정도 익숙하게 일처리를 할 수 있었다. 한편, 이경훈 사무관은 란스의 중자를 만드는 작업을 했는데 두 시간이나 넘게 걸려서 3개를 만들었지만 미숙한 실력 때문에 모두 버릴 수밖에 없었다. 그러다 네 번만에 처음으로 쓸 수 있는 중자를 만들었다.
셋째 날, 우리는 좀더 특별한 체험을 하게 되었다. 폭우를 뚫고 우리 세 사람은 ‘포스코-서울엔지니어링-선일기공‘으로 연결된 대기업과 중소기업 동반성장의 현장을 둘러보았다. 이 날 방문한 서울엔지니어링의 도급업체인 선일기공의 경우, 2차 도급업체까지 이르는 동반성장 정책의 일환으로 생산성 혁신 파트너십 컨설팅이 지식경제부와 대기업 주체로 시작되고 있었다. |
|
과거에는 중소기업 지원이 대기업의 1차 도급업체에만 한정되었는데 반해, 이제는 1차 도급업체와 거래관계에 있는 2차 도급업체까지 정책 대상에 포함된 것이다. 선일기공 사장님은 이러한 정책이 지속되어서 많은 중소기업들이 자생력을 갖출 수 있길 바란다고 말씀하셨다. 대기업, 중소기업, 그 하도급업체의 관계와 이런 현실에서 돌파구를 찾는 정책 현장을 체험하면서 우리는 책상에서 얻은 지식 못지않은 큰 배움을 얻었다고 입을 모았다.
|
 |
별다른 정보 없이 들어온 서울엔지니어링에서 만 3일이 지났을 뿐이지만 품질관리 상무님의 말씀처럼 어느 새 서울 엔지니어링의 직원이 되 버린 듯 하고 해외 오지에 나가 당장이라도 회사를 홍보하고 서울엔지니어링의 제품을 판매할 수 있을 정도의 애착도 생겼다.
하지만 서울엔지니어링에서의 즐거운 기억과 동시에 현재 한국 중소기업체들이 가진 애환과 정부가 지원해야할 사안에 대해서는 마냥 즐거운 마음일 수 없다. 서울엔지니어링 제2공장 증축과정에 대한 설명을 들으면서, 인허가 관련한 전문 법률팀이 없는 중소기업을 위한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. 담당 지자체나 정부에서 행정관련 법률 서비스 지원을 돕거나, 현장을 꼭 확인하는 절차를 지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. 우리를 안내해 주신 담당 부장님께서도 거듭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사무관이 되어줄 것을 부탁하셨다. 현장중심 행정가가 되어야 한다는 각오를 다시 새겨본다. |
|
|
|
|
|